중국 정부가 파워배터리의 음극 소재로 쓰이는 흑연에 대한 수출 통제를 발표하자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 주도로 대응공을 구성했다
중국 정부가 파워배터리의 음극 재료로 쓰이는 흑연에 대한 수출 통제를 발표한 가운데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 주도로 대응팀을 구성해 국내 흑연 수급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장영진 산업부 제1차관은 23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청사에서 그라피티 공급 대책을 위한 민관합동회의를 주재하고 구체적인 대책을 논의했다.산업부는 이달 20일 국내 주요 배터리 업체 관계자들을 불러 시장 상황을 점검했다.
정부는 이날부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흑연 수급 대응 작업반을 가동, 관련 업체의 흑연 수급 안정을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정부는 또 한국 기업의 중국 내 흑연 수입 허가가 지연되거나 거부되는 일이 없도록 고위급 협력 등 외교 채널을 통해 중국 측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장기적으로는 탄자니아 등 대체 공급처를 확보하는 등 흑연 공급망 다변화 및 자체 통제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흑연을 사용해 배터리 음극 소재를 생산하는 포스코 퓨처m이 이르면 연말 포항시에 있는 인조흑연음극 소재 1차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내년 하반기 2단계 공장이 예정대로 완공되면 연간 1만 8000t의 인조 흑연 음극 소재를 생산하게 된다.
회의에서 전지업계 관계자들은 정부가 중국 측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국내외 흑연 공급망 구축에 관심과 지원을 해 줄 것을 요청했다.그는"업계에서는 이번 중국측의 단속이 국내 첨단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며"정부는 모든 가능성을 면밀히 점검하고 민간부문과 긴밀히 협조해 흑연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산업부, 기획재정부, 외교부 등과 국내 3대 전지업체, 배터리 양극재 업체, 전지협회, 신소재 · 핵심부품 · 중대기술장비 공급사슬센터 등이 참석했다.